한국어선생님/자료공유 15

유아 한글 공부 - 숫자 놀이 활동지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한국어의 숫자 중 중국어에서 유래한 "Sino-Korean Numbers"에 대한 활동지를 준비했습니다. 한자어 숫자는 주로 큰 숫자에 사용되며, 주소, 시간(분), 날짜, 돈을 셀 때 사용됩니다.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 아이들 대상으로 만든 유아 무료 학습지라 지시사항이 영어로 적혀있습니다. PDF 파일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가입 불필요)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숫자 익히기 - 플래시카드나 카드놀이로 활용하기 2. 빈칸 채우기 활동지 두장 3. 순서대로 선잇기 활동지 두 장 1-sino-korean-number-worksheet Today, let's delve into Sino-Korean Numbers. These special number..

한국어튜터II 시범 수업 질문 리스트 (영어)

학생과의 첫 만남에서 물어볼 수 있는 질문 리스트를 정리해 봤다. 상담할 때나 첫 수업 때 자신의 상황에 맞게 사용하길 바란다. 인적사항 What is your name? 이름이 뭐예요? Where are you from? 어디 나라 사람이에요? What is your native language? 모국어가 뭐예요? What are your hobbies? 취미가 뭐예요? What other languages do you speak? 다른 언어를 할 줄 알아요? What is your current occupation or field of study? 현재 직업 또는 공부하는 분야가 뭐예요? 언어 학습 경험 Have you studied this language before? 한국어를 전에 배워본 적이 ..

5주차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 교육론 : 듣기 전략

1. 듣기 전략의 개념 [1] 기존의 듣기 교육 들은 결과라든지 텍스트의 내용을 제대로 들었는지 아닌지에 집중되어 왔음. 결과만 중요하게 생각해 과정은 무시됨. 학습자에게 초조감과 집중력 저하 유발. [2] 학습자가 내용 이해에 도달한 과정에 관심을 갖게 됨 결과 중심 듣기 교육에서 점차 과정 중심 듣기 교육으로 초점이 옮겨짐. 학습자에게 잘못된 이해를 수정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시킬 수 있었음 [3] 듣기 전략 입력되는 언어 자료를 이해하고 추측하는 데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기술이나 활동을 이름 이해를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 잘 듣고 잘 말하기 위한 여러가지 전략들. 다시 말해달라고 요청하기, 크게 말해달라고 요청하기, 쉬운 말로 설명을 요청하기, 메모하기 등 [4] 듣기 전략 훈련의 목적 언어 능력..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개론 : 외국어, 제 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 이론, 중간언어의 이론과 학습자 요인

1. 제 2언어 습득의 기본 개념들 [1] 제 2언어 습득의 의미 모국어를 배우는 단계 다음으로 또 다른 하나의 언어를 배우는 과정을 연구하는 것. 제 2언어를 배우는 개인이나 집단을 연구하는 것 [2] 제 2언어 습득론의 연구 영역 외국어 학습자가 무엇을 배우는가? 학습자가 이를 어떻게 학습하는가? 어떤 학습자는 어째서 다른 학습자보다 더 성공적이거나 덜 성공적인가? [3] 제 2언어 습득 연구의 다학문적 특성 언어학: 습득의 결과로 학습자가 생성해내는 언어 체계를 기술 심리학: 학습자가 학습자 언어 체계를 생성해내는 과정을 설명 사회언어학: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인 요인을 제공 [4] 제1 언어, L1(First Language, mother tougue) 약 3살 이전의 어린 시절에, 언어 화..

4주차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 청화식 교수법

1. 청화식 교수법의 배경 [1] 배경 (1) 1922년 Coleman Report 읽기 중심의 접근하여 글의 내용을 이해하도록 가르칠 것 (독해중심) (2) 세계대전 사이 미국: 영어를 외국어로 독해 구두 접근 방법 사용 영국: 문형이나 문법은 교과서 저자들 마음대로 도입. 교과서에 포함된 어휘나 문법에는 어떤 기준이 없었음. (3) 미국의 제 2차 세계대전 참전 미국의 외국어 교육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어, 중국어, 일본어 등 다른 언어들에 능통한 통역, 암호실 조사, 혹은 번역사로 일할 요원을 공급하기 위한 외국어 교육 특별 프로그램이 절실함 (4) 1942년 미육군 전문 어학훈련 프로그램 개발 목표: 군인들이 다양한 외국어 회화에 숙달하도록 하는 것 외국어를 구두 중심적인..

4주차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 교육론 : 듣기 교육의 원리

1. 듣기 지도의 개념 [1] 과거의 듣기 지도에 대한 인식 학습자의 귀가 열릴 때까지 학습자를 음성 자료에 최대한 많이 노출되도록 돕는 것이라고 생각함 [2] 의사소통 중심의 언어 교수법에서의 인식 의사소통을 잘 하도록 하는 것이 언어 교육의 목표이다. 청자의 내면적 언어지식과 사고력, 추리력을 동원하여, 들은 정보를 처리하고 이에 적절한 대응을 모색하는 적극적 언어활동으로 이해하게 됨. [3] Rivers(1996) 말한 것이 다른 사람에 의해서 이해되지 않는다면 말하기 그 자체는 의사소통을 구성하지 못한다. 의사소통의 목적을 달성하려면 듣기 이해의 지도가 가장 중요하다.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 교육에서 듣기 지도가 우선되어야 함을 강조. [4] Brown(2006) 제 2언어 환경에서 수행되는 듣기 ..

3주차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개론: 교수 요목과 교재와의 관계

1. 외국어 교육을 위한 교수요목과 교재와의 관계 [1] 교수요목 중요한 항목, 중요한 목록 실러버스 : 라틴어 어원으로 목록. 학술계가 아닌 일반적으로 강의계획서를 의미 [2] 교재 제작의 구체 설계도와 같은 교수요목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보여주는 교육과정의 설계도 교육 내용과 순서의 개요를 이루는 설계물로 교재 구성의 근간을 이루는 것 교육 목표와 내용에 대한 계획, 또는 교육 내용의 선정과 배열 등이 포함됨. 자료 선정, 학습 과제와 연습 활동 유형 배치, 특정한 상황에서의 표현 방법 등을 선정하는 것 [3]외국어, 한국어 교수요목 항목별 기술의 내용의 선정/선택 및 조직/배열의 문제를 핵심적으로 제시한 것 대체로 교재의 목차 뒤에 명시적으로 제시된 표 형태

4주차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 한국어 교재의 역할

1. 외국어 교재가 담고 있는 내용들(교재의 기능) [1]관점 반영의 기능 교육 환경에 가장 적합한 교수-학습 이론을 반영한다. 교육의 목적, 방향 등의 교육 철학을 반영한다 교과와 학습자에 대한 태도가 입장을 반영한다. 의사소통 중심,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경향 [2] 내용 제공 및 재해석의 기능 교재는 추상적이고 포괄적으로 진술된 내용 요소를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제시한다. 교육 내용은 교수요목, 교재 구성표 등으로 제시한다 교육 내용의 선정은 학습자 요구 분석 결과와 공통적 핵심의 활용을 통해서 실현된다. 교육 내용의 조직은 교수-학습 내용을 나선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3] 교수-학습 자료의 제공 기능 교재는 언어 사용을 익힐 수 있는 자료 제공 언어 사용 기능의 신장은 할 수 있는 것이 많..

3주차(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개론 : 음운과정과 음운규칙

1. 음운 과정 [1]음운 과정의 개념 (1)전제 : 언어는 항상 변천 - 음운, 의미, 문법 등 (2)음운과정: 음운의 생성 및 소멸, 교체, 삽임(또는 첨가), 탈락, 축약 등과 같은 음운의 변화 1) 통시적 현상 - 음운의 역사적 변천 예: 믈> 물, 고>코 2)공시적 현상 - 특정 시기에 나타나는 변화 - 변동/변이 예: 국민 [국민>궁민] 아기[아기>애기] 2. 음운 과정 [1]음성의 변동과 음운의 변동 (1) 음성 변동의 예 1)[p] > [b] : 부부pupu > pubu , 밥이 papi>pabi (2) 음운 변동의 예 1)/ㄱ/ > /ㅇ/ 국물 2) /ㅂ/>/ㅁ/ 앞날>압날>암날 3)/ㅏ/>/ㅐ/ 아기>애기 4) /ㅗ/>/ㅛ/ 아니오>아니요 [2] 음운의 교체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

3주차(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개론 : 음운과 음운과정

1. 음운 [1]음소와 (변)이음 (1)음운(또는 음소)의 특성 1)인지상 - 언중이 하나의 음성으로 이해. 실제 음성은 하나가 아닌데 하나로 인지를 한다 2)기능상 - 단어의 의미를 구분해 줌. ㅂ에는 적어도 세 개의 음성이 존재한다. 한국어 화자는 이 셋을 통합하여 하나의 음성처럼 인식한다. 밥(파열음 p), 밥의 불파음(p'), 갈비(b)유성음 (2)음운의 정의 단어의 의미를 변별해 주는 기능을 가지면서. 하나의 음성으로 인지되는 추상적 실체 또는 주요한 공통 특성을 가진 둘 이상의 음성이 묶여서 하나로 추상화 된 것. [p],[b],[p'] 는 상이한 세 음성, 하나의 음소 -> 우리 머리 속에서 추상적으로 인지함 음성은 []로, 음소는//로 표기한다. (3)최소대립어 하나의 음소로 의미가 변별되..

3주차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 한국어 교재의 구성원리, 구성문제와 구성문제 해설

1. 고전적 외국어 교수요목의 종류와 재구성한 외국어 교수요목의 종류 고전적 외국어 교수요목 재구성한 외국어 교수요목 [1]구조형 교수요목 문법적 또는 음운론적 구조 내용에 따라 구성 제 1과 : -이에요/예요, 제 2과 : -이/가 아니에요 [1]문법적 교수요목 문법적 난이도와 빈도수를 기준으로 하여 언어 구조 중심으로 설계 [2] 상황형 교수요목 공항, 은행, 식당 등 학습자가 부딪히는 생활 장면들을 소재로 구성 (여행책자) 제 1과 : 식당에서 / 제 2과 : 길에서 / 제 3과 : 지하철 역에서 / 제 4과 : 호텔에서 / 제 5과 : 우체국에서 요즘은 번역기로도 해결 될 수 있는 부분이 있음 [2] 개념, 기능적 교수요목 언어를 규칙 체계가 아닌 의사소통 목적으로 파악하여 실제적 학습 과제를 설..

3주차 한국어 문법론 : 음운변동의 원리

자모-> 음절 -> 소릿값/문자 꽃[꼳], 꽃만[꼰만] 닦다[딱따] 주워야[주서야] 일반적으로 말은 시간이 흐를수록 형태와 어법은 단순해지고 발음은 세지는 경향을 보인다. 말하는 사람의 경제성과 명확성이 우선되기 때문. 쉽고 편하게 발음하려고 하고, 조금 더 분명하게 전달하려다 보니 많은 음가들이 중화되기도 하고 거세지기도 함 네가 -> 니가라고 발음하는 현상 평소 발음에 신경을 쓰면서 소리 내는 사람은 많지 않다. 발음과 음의 변화는 규칙을 외우려고 하면 할 수록 더 어려워지기만 하는 영역. 현대 한국어는 어두자음군의 경음화 현상이 혼합되어 있다. 소주[쏘주], 닦다[딲따], 좀[쫌] 처럼 일부 단어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발음하는 경향을 보인다. 닭이[다기], 흙이[흐기]처럼 겹받침을 가진 단어의 경우,..

3주차 외국어로서의 언어 교수 이론 : 구화식 교수법과 상황 중심 교수법

1. 구화식 교수법과 상황중심 교수법의 등장 배경 1920-1930년대 영국의 응용언어학자의 연구에서 시작 대표적 인물 Palmer, Hornby 언어 교육 과정의 내용을 선택하고 조직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원리와 교수 절차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시도함 [1] 어휘 통제 언어 지식은 어휘, 문법, 발음에 대한 것이다. 구화식 교수법에서 어휘는 외국어 학습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봄. 어떤 것을 가르칠 것인지, 어느 것부터 가르칠 것인지 외국어 학습 목표로써 읽기 기능을 강조하며, 어휘 통제 원칙을 개발함. (1) 어휘 빈출도 조사 - 얼마나 빈번하게 나타나는지를 조사. (2) A general Service list of English words (1953) 영어교재 개발에 표준 참고자료(어휘선택..

3주차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교육론 : 언어 교육 이론과 듣기 교육, 주제별 듣기 교육에 대한 연구

1. 언어 교육 이론과 듣기 교육의 관계 1.문법번역식 교수법 가장 오래된 교수법의 하나로 고전 명문들을 번역했던 방법 문법과 해석에 중심을 두었기 때문에 말하기, 듣기에는 관심이 없었음 2.직접 교수법 목표어를 목표어로 가르친다 듣기, 말하기 등의 구어를 강조. 수업을 목표어로 하기때문에 듣기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강조되지만, 듣기만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이라고 볼 수 없음. 3. 청각 구두 접근법 행동주의 심리학을 기반 똑같은 것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면 체화되어 사용할 수 있게된다. 듣기, 말하기를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교수자가 계획한 전형적인 대화쌍이나 문장을 듣고 따라하기 때문에 능동적인 학습이라고 볼 수 없다. 음 변별과 받아쓰기 등으로 연습한다. 학습자가 주어진 문장을 기계적으로 반복하기 때문에..

3주차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표현 교육론 : 말하기 수업의 구성, 말하기 오류의 수정, 말하기 수업의 예

1. 말하기 수업의 구성 [1] 말하기 수업의 단계 (1) 말하기 전 단계 과제 수행을 위해 필요한 내용 지식과 언어 지식, 과정 지식을 확인하고 연습하는 단계 (2) 말하기 후 단계 말하기 전 단계에서 준비된 내용을 바탕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단계 (3) 말하기 후 단계 말하기 단계에서 수행된 말하기 결과물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과제 수행을 점검하고 과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 언어, 과정 지식을 보완하는 단계 [2] 말하기 전 활동 각각의 활동 중 필요한 것을 선택적으로 또는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음 활동에 따라 교사 중심적으로 또는 짝 활동이나 모둠활동으로 운영할 수 있음 활동을 진행하면서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생각해 내게 하고 필요한 내용, 언어, 과정 지식이 있을 경..

반응형